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화 그림 예술163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 해석, 표현 기법, 재료, 인물, 시대적 배경, 조형요소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은 성경의 사건을 가장 유명하고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이 작품은 예수 그리스도와 열두 제자가 십자가에 못 박히기 전에 나눈 마지막 식사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예수의 제자 중 한 명이 배신하고 결국 십자가에 못 박히게 된다는 해석이 가능한 순간도 있으며, 제자들의 감정과 행동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있는 명화입니다.  최후의 만찬의 인물들은 왼쪽부터바돌로매 / 야고보(알패오의 아들) / 안드레 / 베드로 / 가롯유다 / 요한 / 예수 / 도마 / 야고보 / 빌립 / 마태 / 다대오 / 시몬 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최후의 만찬의 표현 기법사실주의와 자연주의 :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인물을 표현할 때 사실주의와 자연주의를 추구했으며 인체 해.. 2023. 7. 17.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에 해석, 작품 특징, 작가 의도, 가치, 작품 재료, 조형요소 "별이 빛나는 밤에"는 네덜란드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가 1889년에 그린 작품으로 유명합니다.이 작품은 반 고흐의 대표작 중 하나로 굉장히 유명하며, 현대 예술사에서 가장 인정받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간략한 요약을 시작으로 작품 특징, 작가의 의도, 작품의 재료, 가치, 해석, 조형요소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작품은 반 고흐가 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의 생활을 하면서 그린 경치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작품은 밤하늘에 퍼져있는 별과 달, 주변의 마을과 가정, 그리고 전통적인 세계적인 장소로 알려진 세인트 레미 데 프로방스 교회의 탑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작품은 흐릿하게 그려진 획과 밝고 강렬한 색상, 회전하는 높은 나무와 함께 다이내믹한 움직임과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별이 빛나는 밤에"는 반 고흐가 .. 2023. 6. 21.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 해석, 표현 재료,스푸마토기법,모나리자 속 인물,조형요소,특징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걸작 모나리자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모나리자는 사실 처음부터 유명했던 것은 아닙니다. 100년 전만 해도 모나리자는 루브르에 있는 많은 명작 중의 하나였습니다. 1911년 6월 21일 모나리자가 감쪽같이 사라지기 전까지 말이죠. 모나리자는 사라지고 난 뒤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타게 됩니다. 아이러니하게 자취를 감추게 되면서 더욱 유명해지게 된 것입니다. 이때 모나리자 도난 용의자가 파블로 피카소로 좁혀지게 됩니다.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났지만 파블로 피카소가 훔쳤다는 설을 통해 모나리자는 더욱 유명해지게 됩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리고 파블로 피카소가 훔친 작품"으로 말이죠.2년 뒤 모나리자는 루브르 박물관으로 돌아오게 되는데요, 그 범인은 빈센초 페루자라는 인물.. 2022. 5. 9.
[사과와 오렌지 / 폴 세잔] 작품 설명 / 특징과 표현 / 특별한 이유 / 혁신 목차폴 세잔은 누구?후기 인상주의 화가 폴 세잔, 인상주의 운동에 동참했던 작가현대미술의 아버지라 불린다.1839년 프랑스 엑상프로방스에서 태어났다.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폴 세잔은 사업을 이어받지 않고 그림을 그리기 위해 파리로 떠났다.그 후 그림 공부를 하며 파리에서 인상파 화가들과 교류하다가 피사로의 외광 묘사에 자극을 받은 후 밝은 색채감을 가지고 좀 더 단순화되며 독자적인 세계를 형성해 나갔다.   사과와 오렌지는1899년 정물화 캔버스 유화이다.폴 세잔의 작품 중 가장 잘 알려진 정물화이다. 1986년 부터 파리 오르세 미술관에 있다. 작품의 설명 ▶ 캔버스에 유채 기법, 크기는 74 x 93cm, 정물화정물화 : 여러 일상생활의 사물을 주제로 한 회화 외 총칭이다. ▶ 흔히 볼 수 있는 평범.. 2021.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