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상식

3D 프린터에서 ABS 소재는 어떻게 사용될까? ABS 소재는 무엇?

by 루이민 2025. 3. 14.
반응형

3D 프린팅을 하다 보면 가장 많이 듣게 되는 소재 중 하나가 바로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이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후가공이 용이하며, 산업용으로도 많이 활용되는 소재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ABS를 선택한다.

하지만 ABS는 PLA(폴리락틱산) 같은 초보자 친화적인 소재에 비해 출력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냄새도 강하고, 출력 중 수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그렇다면 ABS는 어떤 장점이 있고, 3D 프린팅에서 어떻게 활용되며, 출력할 때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

이번 글에서는 ABS 소재의 특성과 활용법, 그리고 안정적인 출력 방법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보겠다.

 

ABS 소재

 

 

목차

    1. ABS 소재란?

    ABS는 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충격에 강하고, 가공이 쉬워 자동차 부품, 전자기기 케이스, 산업용 프로토타입 제작 등에 널리 사용된다.

    ✔️ ABS 소재의 특징

    ✅ 강한 내구성 – 충격에 강해 튼튼한 출력물 제작 가능

    ✅ 높은 내열성 – 약 80~100℃에서도 변형 없이 유지

    ✅ 후가공이 용이 – 사포질, 드릴링, 도색, 아세톤 증기 연마 가능

    ✅ 산업용으로 적합 – 강도와 내구성이 필요한 부품 제작 가능

    하지만 ABS는 출력 난이도가 높은 편이라 주의해야 한다.

    ❌ ABS의 단점

    🚫 수축과 변형이 심함 – 출력 중 온도 변화가 크면 휘어질 수 있음

    🚫 프린팅 중 독한 냄새 발생 – 환기가 필수

    🚫 출력 환경이 중요함 –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어야 함

    💡 ABS는 초보자가 다루기 어렵지만, 적절한 환경에서 출력하면 매우 우수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2. 3D 프린터에서 ABS는 어떻게 사용될까?

    ABS는 주로 FDM(FFF) 방식의 3D 프린터에서 사용된다. 이 방식은 노즐을 가열하여 필라멘트를 녹이고 한 층씩 적층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ABS는 PLA보다 출력 조건이 까다롭다. 그렇다면 ABS를 성공적으로 출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ABS 출력 시 필요한 조건

    1️⃣ 출력 온도220~260℃ (프린터마다 최적 온도 다름)

    2️⃣ 베드 온도90~110℃ (출력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함)

    3️⃣ 챔버(밀폐된 출력 환경) 사용: 온도 변화 방지

    4️⃣ ABS 전용 접착제 사용: 첫 번째 층(레이어)이 잘 붙도록 하기

    5️⃣ 출력 후 냉각 속도를 천천히 조절: 급격한 온도 변화 방지

    💡 적절한 세팅을 하면 ABS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3. ABS 소재의 주요 활용 분야

    ABS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후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자동차 부품

    • 자동차 내부 패널, 대시보드, 그릴, 손잡이 등에 사용됨
    • 내구성과 내열성이 필요하므로 ABS가 적합함

    ✅ 전자기기 케이스

    • 노트북, 프린터, 게임 콘솔, 전자기기 외장재
    • 가볍고 튼튼하며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됨

    ✅ 공업용 프로토타입 제작

    • 시제품 제작 및 설계 테스트용 부품 출력
    • 후가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됨

    ✅ 장난감 및 소비재

    • 레고 블록(ABS 소재로 제작됨!)
    • 강도와 내마모성이 필요한 완구 및 생활용품

    💡 ABS는 강한 내구성과 가공성이 필요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소재다!


    4. ABS 출력 성공을 위한 핵심 팁

    ABS는 출력 난이도가 높지만, 몇 가지 핵심 팁만 따르면 성공적인 출력이 가능하다.

    🔹 ① 온도 유지가 중요하다

    • 노즐 온도 220260℃ / 베드 온도 90110℃
    • 밀폐된 챔버(Enclosure) 사용하여 일정한 온도 유지

    🔹 ② 첫 번째 층(레이어)을 완벽하게 붙이자

    • ABS 슬러리(ABS+아세톤 혼합물) 사용하면 접착력 증가
    • 블루 테이프, PEI 시트, 특수 접착제 활용

    🔹 ③ 출력 후 바로 냉각시키지 말 것

    • 급격한 온도 변화가 생기면 출력물이 휘어짐(Warping)
    • 프린터 안에서 천천히 식히는 것이 중요

    🔹 ④ 후가공 활용하기

    • 아세톤 증기 연마(Vapor Smoothing): 매끄러운 표면 연출
    • 사포질 + 도색: 강도 유지하면서 디자인 완성 가능

    💡 ABS 출력의 핵심은 ‘온도 유지’와 ‘첫 번째 층의 접착력’이다!


    5. ABS vs PLA: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ABS와 PLA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3D 프린팅 소재지만, 각각의 특성이 다르다.

    특징 ABS PLA
    강도 높음 중간
    내열성 80~100℃ 50~60℃
    출력 난이도 어려움 쉬움
    후가공 가능 여부 가능 (사포질, 도색, 아세톤 연마) 제한적
    출력 시 냄새 강함 (환기 필수) 거의 없음

    💡 강한 내구성과 후가공이 필요하다면 ABS, 초보자라면 PLA를 선택하자!


    ABS는 다루기 어렵지만 강력한 소재다!

    ABS는 출력 난이도가 높은 대신, 내구성과 후가공이 뛰어난 소재다. 자동차, 전자기기, 공업용 부품 등 강도가 필요한 제품을 만들 때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다.

    📌 ABS를 성공적으로 출력하려면?

    1️⃣ 출력 온도(220260℃) & 베드 온도(90110℃) 유지

    2️⃣ 챔버 사용 & 첫 번째 층 접착력 강화

    3️⃣ 출력 후 급격한 냉각 방지

    4️⃣ 후가공(아세톤 연마, 사포질) 적극 활용

    ABS를 마스터하면 전문적인 3D 프린팅 제작자로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다! 이제 직접 출력에 도전해보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