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상식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소재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by 루이민 2025. 3. 14.
반응형

3D 프린터가 처음 등장했을 때만 해도 ‘플라스틱 덩어리를 쌓아 올리는 신기한 기계’ 정도로 여겨졌다. 하지만 이제는 의료, 항공, 자동차, 건축 등 거의 모든 산업에서 필수적인 기술이 되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다양한 소재 덕분이다.

단순한 플라스틱만 쓰이는 게 아니다. 금속, 세라믹, 나일론, 심지어 초콜릿까지도 3D 프린팅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그렇다면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주요 소재는 무엇이며,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질까?

이번 글에서는 3D 프린터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들을 종류별로 분석해보겠다.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소재

 

 

 

1. 플라스틱 소재 (FDM & SLA 방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3D 프린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는 플라스틱이다. 가볍고 가공이 쉬운 특성 덕분에 프로토타입 제작, 완구, 소형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PLA (Polylactic Acid, 폴리락틱산)

✅ 특징

  • 옥수수 전분에서 추출된 친환경 소재
  • 인쇄하기 쉽고 독성이 없음
  • 표면이 매끄럽고 정밀한 출력 가능

✅ 단점

  • 내열성이 낮아 50~60℃ 이상에서 변형 가능
  • 기계적 강도가 낮아 내구성이 필요한 부품에는 부적합

✅ 활용 분야

  • 장난감, 교육용 모델, 가벼운 프로토타입 제작

💡 PLA는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3D 프린팅 소재다.


🔹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 특징

  •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 자동차 및 공업용 부품에 사용됨
  • 내열성이 높아 80~100℃까지 변형 없이 유지
  • 후가공(사포질, 아세톤 증기 연마 등)이 용이

✅ 단점

  • 프린팅 시 독한 냄새 발생 (환기 필수)
  • 수축률이 높아 정밀한 출력이 어려울 수 있음

✅ 활용 분야

  • 자동차 부품, 전자기기 케이스, 튼튼한 프로토타입

💡 강한 내구성과 후가공이 가능해 산업용으로 많이 쓰인다.


🔹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 특징

  • ABS만큼 강하고, PLA처럼 쉽게 프린팅 가능
  • 투명하게 출력할 수 있어 병이나 용기 제작에 적합
  • 내화학성이 뛰어나 물, 기름, 화학물질에 강함

✅ 단점

  • 표면이 약간 끈적거려 먼지가 달라붙을 수 있음
  • 서포트(지지대) 제거가 다소 어려움

✅ 활용 분야

  • 식품 용기, 방수 부품, 의료 기기 케이스

💡 PETG는 내구성과 출력 용이성을 겸비한 다재다능한 소재다.


2. 금속 소재 (SLM, DMLS 방식에서 사용됨)

플라스틱뿐만 아니라, 금속도 3D 프린팅이 가능하다. 주로 항공, 자동차, 의료 산업에서 활용된다.

🔹 스테인리스 스틸 (Stainless Steel)

✅ 특징

  • 강도가 높고 내식성이 뛰어남
  • 의료 기구, 산업용 부품 제작에 적합

✅ 활용 분야

  • 항공 부품, 의료 임플란트, 시계, 고급 장신구

💡 스테인리스 스틸은 부식되지 않아 의료 및 산업 분야에서 많이 쓰인다.


🔹 티타늄 (Titanium)

✅ 특징

  • 가볍고 강도가 뛰어나며 생체 적합성이 우수함
  • 인체 삽입이 가능해 의료 분야에서 사용됨

✅ 활용 분야

  • 인공 관절, 치과 임플란트, 항공기 부품

💡 고가이지만, 강도와 경량성 덕분에 의료 및 항공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 알루미늄 (Aluminum)

✅ 특징

  •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남
  • 자동차 및 항공기 부품에 적합

✅ 활용 분야

  • 자동차 프레임, 전자기기 하우징

💡 알루미늄은 경량 구조물이 필요한 산업에서 각광받는 소재다.


3. 특수 소재 (의료, 건축, 식품 산업에서 사용됨)

플라스틱과 금속 외에도 고유한 특성을 가진 특수 소재가 있다.

🔹 탄성 소재 (TPU, TPE 등)

✅ 특징

  • 유연성이 뛰어나며 충격 흡수력이 좋음
  • 고무처럼 구부러지고 신축성이 있음

✅ 활용 분야

  • 신발 밑창, 스마트폰 케이스, 의료용 보조기구

💡 탄성 소재는 신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제품에 적합하다.


🔹 세라믹 & 유리 소재

✅ 특징

  • 열에 강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임
  • 정밀한 디자인 구현 가능

✅ 활용 분야

  • 예술 작품, 건축 모델, 실험용 장비

💡 세라믹 프린팅은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아 건축 및 연구용으로 유용하다.


🔹 식품 소재 (초콜릿, 설탕 등)

✅ 특징

  • 식용이 가능하며, 맞춤형 디자인이 가능함
  • 정밀한 모양을 만들 수 있어 케이크 장식 등에 활용

✅ 활용 분야

  • 초콜릿 조각, 설탕 조형물, 맞춤형 음식 디자인

💡 3D 프린터로 음식을 만드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3D 프린팅 소재는 계속 발전 중!

3D 프린팅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소재가 계속 등장하고 있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플라스틱 (PLA, ABS, PETG)

 

📌 고강도 산업용 금속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알루미늄)

 

📌 특수한 목적을 위한 탄성 소재, 세라믹, 식품 소재

 

미래에는 바이오 소재, 친환경 소재까지 3D 프린팅에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이제 3D 프린팅이 어디까지 발전할지 기대해보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