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을 처음 접하면 신기한 단어들이 많다. 배우들이 "스탠바이!"를 외치고, 공연이 끝난 뒤에는 "커튼콜!"이 이어진다. 노래는 그냥 '노래'가 아니라 '넘버'라고 부른다. 도대체 이게 무슨 뜻일까? 뮤지컬을 더 재미있게 즐기기 위해 꼭 알아야 할 뮤지컬 용어들을 쉽게 정리해봤다.
목차
1. 스탠바이 (Standby)
"스탠바이!"라는 소리를 들으면 배우들은 긴장 상태에 들어간다. 공연이 시작되기 직전, 혹은 특정 장면이 나오기 직전에 준비를 마치라는 신호다. 조명이 어두워지고 배우들이 무대 뒤에서 숨을 고를 때, 무전기로 들리는 "스탠바이!"는 전쟁을 앞둔 병사의 구령처럼 느껴진다.
🎤 실제 상황 예시:
막이 오르기 1분 전, 무전기로 "스탠바이!"가 들린다. 배우들은 마지막으로 의상을 점검하고, 숨을 깊게 들이마신다. 이제 무대로 나갈 준비 완료!
2. 커튼콜 (Curtain Call)
공연이 끝났다고 해서 바로 집에 가면 안 된다. 진짜 마지막은 커튼콜이다. 배우들이 무대 앞으로 나와 관객들의 박수를 받는 순간이다. 때로는 관객들이 너무 열광해서 배우들이 한 번이 아니라 두세 번 더 인사할 때도 있다.
🎤 실제 상황 예시:
뮤지컬이 끝나고, 배우들이 한 명씩 무대 앞으로 나온다. 가장 중요한 배역을 맡은 배우일수록 마지막에 등장한다. 관객들은 기립박수를 치며 환호한다. "브라보!" 소리가 들리면 배우들의 얼굴엔 뿌듯한 미소가 번진다.
3. 넘버 (Number)
뮤지컬에서는 노래를 그냥 '노래'라고 하지 않는다. 넘버(Number)라고 부른다. 영화에서 장면(scene)이 중요한 역할을 하듯, 뮤지컬에서는 넘버가 극의 분위기를 이끈다. 넘버는 단순한 배경음악이 아니라, 등장인물의 감정과 스토리를 전달하는 핵심 요소다.
🎤 실제 상황 예시:
<레미제라블>에서 "One Day More"가 나오면, 모든 캐릭터들의 운명이 교차하는 느낌을 받는다. 이 넘버 하나로 관객들은 다음 전개에 대한 기대감에 사로잡힌다.
4. 오디션 (Audition)
배우가 뮤지컬에 출연하기 위해 가장 먼저 거쳐야 할 과정. 연기, 노래, 춤을 평가받는 자리다. 감독과 스태프들은 여기서 배우의 캐릭터 해석력과 무대 매력을 본다. 대형 뮤지컬일수록 오디션 경쟁률이 엄청나다.
🎤 실제 상황 예시:
신인 배우가 '엘리자' 배역 오디션을 보러 갔다. "Burn"을 부르는데, 긴장한 나머지 고음 부분에서 실수했다. 하지만 감정 표현이 좋았던 덕분에 앙상블(Ensemble) 역할로 캐스팅되었다.
5. 앙상블 (Ensemble)
주연만큼 중요한 역할이 앙상블이다. 주연 배우가 이야기의 중심을 이끌어간다면, 앙상블은 무대를 가득 채우고 극의 분위기를 만든다. 군무, 합창, 그리고 작은 역할까지 모두 포함된다.
🎤 실제 상황 예시:
<캣츠>에서 앙상블 배우들이 무대에서 고양이처럼 움직인다. 그들의 몸짓 하나하나가 작품의 완성도를 높인다.
6. 리프라이즈 (Reprise)
같은 멜로디의 노래가 다시 등장하는 것을 리프라이즈라고 한다. 처음과 같은 가사일 수도 있고, 바뀐 가사일 수도 있다. 같은 멜로디라도 등장하는 시점에 따라 감정이 완전히 다르게 느껴진다.
🎤 실제 상황 예시:
<오페라의 유령>에서 "All I Ask of You"가 처음엔 사랑의 듀엣으로 나오지만, 후반부에는 유령이 절망하며 부른다. 같은 노래지만 감정은 정반대다.
7. 언더스터디 (Understudy) vs 스윙 (Swing)
- 언더스터디: 특정 주연 배우가 아플 때 대신 공연하는 배우.
- 스윙: 여러 배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배우.
언더스터디는 특정 배역을 맡지만, 스윙은 다수의 역할을 맡는다. 한 명의 스윙 배우가 최대 10개 배역을 맡기도 한다!
🎤 실제 상황 예시:
주연 배우가 갑자기 목이 쉬었다. 다행히 언더스터디가 무대에 올라 완벽한 공연을 해냈다. "그 배우는 원래 주연이 아니었는데, 정말 최고였어!"
8. 백스테이지 (Backstage)와 프롬프터 (Prompter)
- 백스테이지: 무대 뒤 공간. 배우들이 대기하는 곳.
- 프롬프터: 대사나 가사를 잊은 배우를 돕는 사람.
🎤 실제 상황 예시:
백스테이지에서 배우들이 분주하게 의상을 갈아입는다. 한 배우가 대사를 까먹었는데, 프롬프터가 재빨리 속삭여줬다.
9. 러닝타임 (Running Time)
뮤지컬의 전체 공연 시간을 의미한다. 보통 2~3시간이며, 중간에 인터미션(Intermission, 휴식 시간)이 포함된다.
🎤 실제 상황 예시:
"이 뮤지컬 몇 시간짜리야?" "2시간 40분! 중간에 15분 인터미션 있음."
10. 캐스트 (Cast)와 더블캐스팅 (Double Casting)
- 캐스트: 출연 배우 명단.
- 더블캐스팅: 같은 배역을 두 명 이상이 번갈아 맡는 것.
🎤 실제 상황 예시:
"오늘 엘리자 역할 누구야?" "오늘은 A 배우야! 내일은 B 배우고. 더블캐스팅이라 번갈아 나와."
뮤지컬을 볼 때 이 용어들을 알고 있으면, 더 깊이 빠져들 수 있다. 이제 극장에서 "커튼콜" 소리를 들으면 그게 무슨 뜻인지 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번에는 직접 뮤지컬을 보며 이 용어들이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 찾아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