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2년 청년을 위한 청년지원정책 정리!(feat.링크)
2022년 청년들을 위해 진행하는 정책들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청년들이 보다 많은 지원을 받아 희망을 잃지 않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청년지원정책은 보통 1인가구(세대 분리)가 되어 있어야 수월한 정책들이 많고, 혜택을 받는 사람보다 받지 못하는 사람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정책들은 청년테크스타 보증 / 청년도전 지원사업 / 국민취업지원제도 /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 청년내일채움공제 /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 산업단지 청년 교통비 지원사업 / 청년 월세자금보증 / 청년희망적금 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1. 청년테크스타 보증
조건 | - 창업 후 5년 이내 기업 - 경영주가 만 39세 이하 창업 기업 |
혜택 | - 보증료 연 0.3% 고정금리 - 보증한도 최대 6억 |
기관 | 기술보증기금 (http://www.kibo.or.kr) |
2. 청년도전 지원사업
조건 | - 최근 6개월간 취업 및 교육/직업 훈련 참여 이력 없어야 함 - 만18~34세 |
혜택 | - 사회진출 의욕증진을 위한 1:1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사례관리, 밀착상담, 진로탐색, 자신감 회복, 취업역량강화, 지역 맞춤형 프로그램) - 프로그램 이수 후 국민취업지원제도 연계를 통해 고용촉진장려금 지원 - 프로그램 이수시 20만원 지급 |
기관 | 기술보증기금 (http://www.kibo.or.kr) |
3. 국민취업지원제도
조건 | - 중위소득 120%이하 - 만18~34세 |
혜택 | - 취업시 성공사둥 최대 150만원지급(중위소득60%이하 해당시) - 구직촉진수당 3회차 수급 이내 취업시 50만원지급 - 구직촉진수당 최대 300만원 (월50만원x6개월) |
기관 | 국민취업제도 (http://www.kua.go.kr) |
중위소득 퍼센트별 소득은 아래 링크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louie-min.tistory.com/58
2022년 중위소득 개념, 퍼센트별 소득(50%/70%/80%/100%/120%)
2022년 중위소득 개념, 퍼센트 별 소득(50%/70%/80%/100%/120%) - 중위소득의 지표 개념 국민전체를 소득으로 줄을 세워 놓았을 때 중간을 차지하는 국민의 소득을 의미한다. - 의의 및 활용도 기준 중위
louie-min.tistory.com
4.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조건 | - 순자산가액 3.52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
혜택 | - 월세금 최대 1,200만원까지 (20만원 한도0%, 20만원 초과 1%) - 보증금 최대 3,500만원까지 (연1.3%) |
기관 | 기금e든든 (http://www.enhuf.molit.go.kr) |
5.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 - 만 15~34세(군필자는 최고 만39세까지) - 월 급여 총액기준 300만원 이하 -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 |
혜택 | - 2년후 만기공제금 +1200만원(이자) - 2년간 300만원을 적금하면 정부지원금 300%를 지원받을 수 있음 |
기관 | 내일채움공제 (http://www.sbcplan.or.kr) |
6. 중소기업 청년 전세대출
조건 | - 만19세~34세 무주택 세대주 - 부부일 경우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외벌이 3,500만원이하) -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 순자산가액 3.25억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 |
혜택 | - 전세대출한도 최대 1억원 (연 금리1.2%) |
기관 | 주택도시기금 (http://www.nhuf.molit.go.kr) |
7.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조건 | - 주거급여 수급가구 (중위소득의 46%이하인 가구)의 만19세~30세 미혼자녀 - 별도 거주중인 경우 |
혜택 | - 지역/가구원수별 차등 지원 |
기관 | 복지로 (http://www.bokjiro.go.kr) |
8. 산업단지 청년 교통비 지원사업
조건 | - 만15~34세 노동자 (군필자는 39세까지) - 도내 총 104개 산업단지에 입주한 중소기업에 재직중 |
혜택 | - 매달 5만원의 교통비(택시,버스,지하철 등) 지원 |
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http://www.card.kicox.or.kr) |
9. 청년 월세자금보증
조건 | - 만19세~34세 무주택 세대주 - 월세보증금이 1억원 이하, 월세금이 70만원 이하인 월세계약을 체결한자 - 보증신청일 기준으로 임대차계약기간이 6개월 이상 남은자 - 신청인과 배우자의 합산 연소득이 7천만원 이하로서 주거급여수급자가 아닌자 |
혜택 | - 보증한도 최대 1,200만원 - 거치기간 최대8년 (원금 갚지 않고 이자만 지불하는 기간) 이자 0.02% |
기관 | 한국주택금융공사 (http://www.hf.go.kr) |
10. 청년희망적금
조건 | - 만19세~34세 무주택 세대주 - 연소득 3,600만원 이하 |
혜택 | - 연간 600만원 한도로 최대 2년 가입가능 - 이자소득은 비과세 |
기관 | 청년희망적금 검색 ㄱㄱ |
반응형
댓글